다이렉트 X9를 공부하기위해 책에서 설치 방법을 따라하던 도중
너무 예전에 만들어진책 (용책)이라 다른 부분이 많았다.
요즘 환경에 맞는 DirectX 9.0 SDK를 윈도우 10환경에서 설치해 보자.
준비물 : DirectX SDK , VisualStudio 2015 또는 VisualStudio2017 (C++ 포함 !!)
DirectX SDK 다운로드 주소 : https://www.microsoft.com/en-us/download/details.aspx?id=6812
최신 VisualStudio Community(무료버전) : https://www.visualstudio.com/ko/thank-you-downloading-visual-studio/?sku=Community&rel=15
만약 2015, 2017버전 그대로가 필요하다면 첨부된 파일중 골라서 설치하자.
VS2017.7z
VS2015.7z
마이크로소프트 다운로드 센터에서도 가능하지만 로그인, Dev Essential에 가입해야하는 등 번거롭다.
1) DirectX SDK 설치
1-1) S1203오류 해결
2) SDK Path(경로) 설정
3) 라이브러리 연결
4) 설치가 제대로 됬는지 확인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43F054D58EB1BBF26)
링크를 통해 들어간 곳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3C854758EB1BF80B)
다운로드 폴더를 확인하면 다음 그림과 같은 아이콘이 있을거다. 더블클릭으로 실행한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1713C4C58EB1C3617)
다음과 같은 창이 나타난다. 항상 그랬듯이 전부 다음을 눌러주면 된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1167A4958EB1C6238)
다음을 넘기다 보면 해당창이 뜨면서 골라야 하는데
내가 쓰는동안 문제가 생기거나 했을때 마이크로소프트에게 정보를 보내겠냐고 확인하는 부분이다.
Yes에 권장한다고 적혀있으니 Yes에 체크하고 다음으로 넘기자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202484F58EB1CD326)
이제 설치 경로를 정하게 되는데 저 경로는 잠시후에 다시 써야한다. 가급적이면 지금 미리 한번 봐두자
다음을 누른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464974D58EB1D752F)
까는김에 X표시 된부분도 설치하자. (X옆의 화살표를 누른뒤 This feature, and all subfeatures를 클릭한다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12DF74A58EB1DCC35)
자 그러면 이제 설치가 시작된다. 여기서 문제없이 끝난다면 바로 2단계로 넘어가면 된다.
1) DirectX SDK 설치
1-1) S1203오류 해결
2) SDK Path(경로) 설정
3) 라이브러리 연결
4) 설치가 제대로 됬는지 확인
하지만 대부분의 컴퓨터라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41F2F4458EB1EE333)
빠르게 설명한다면 이미 깔려있는 파일과 충돌해서 일어난다.
우리는 디버그 버전을 사용해야 하는데 일반사용자에게 배포되는 런타임 버전이 설치되있어서 그렇다.
지금 깔려있는 버전을 지워야한다.
지우러 가보자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5140A4558EB1F8F2F)
Microsoft Visual C++ 2010 x64 , x84 모두 지워준다. (4개일수도 있는데 이때도 전부 지워준다.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52C1D4B58EB20FA03)
그후 다시 재설치 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.
1) DirectX SDK 설치
1-1) S1203오류 해결
2) SDK Path(경로) 설정
3) 라이브러리 연결
4) 설치가 제대로 됬는지 확인
자 그럼 이제 비주얼 스튜디오와 연동해보자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522924B58EB220121)
지금은 설치를 위해 아무거나 하나 만들었지만
자신이 사용할 프로젝트를 하나 만들어야 한다. Win32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자기가 원하는 프로젝트 이름을 정해주자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2414E3558EB233908)
화면이 나온다면 프로젝트를 오른쪽 클릭한뒤 속성을 누른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6154A3558EB237A21)
구성 속성 -> VC++ 디렉터리를 클릭한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515E73858EB23E826)
포함 디렉터리 옆에 글이 있는부분을 한번 클릭하면 오른쪽에 화살표가 나타난다.
화살표를 누른뒤 밑의 편집을 다시한번 눌러주자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618D43858EB249C2F)
사진에 나온 순서대로 버튼을 눌러주자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1F274058EB296722)
아까 설치된 경로를 따라가서 Lib폴더 저부분을 선택하고 폴더 선택 버튼을 눌러야 한다.
설치과정에서 따로 설정을 안했다면
C드라이브 -> Program Files(x86) -> Microsoft DirectX SDk(June 2010) -> Lib 폴더이다.
대부분 예제가 32비트기준이기 때문에 x86폴더를 선택한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5342D3B58EB256A2C)
이렇게 됬다면 이제 경로설정이 완료되었다.
1) DirectX SDK 설치
1-1) S1203오류 해결
2) SDK Path(경로) 설정
3) 라이브러리 연결
4) 설치가 제대로 됬는지 확인
아쉽게도 바로 연결했다고 쓸수 있지는 않다.
이제 어떤 라이브러리를 꺼내서 쓸건지 설정해보자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746443858EB267334)
위에 있는 프로젝트를 누르고 속성을 누른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7103C3A58EB26B72B)
왼쪽의 링커를 누르고 입력탭을 클릭하자. 그러면 사진과 같은 화면을 볼수 있다.
DirectX 9.0을 공부할 것이기 때문에 우리가 사용할 라이브러리는 d3d9.lib , d3dx9.lib , winmm.lib 이렇게 총 3가지 이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14AF54458EB27BE16)
추가 종속성 옆을 한번 클릭한다.
그러면 1번 화살표가 보인다. -> 1번 화살표를 클릭한다.
그뒤 2번 (편집)을 누른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575713D58EB28FF04)
추가 종속성 부분에 우리가 사용할 d3d9.lib , d3dx9.lib , winmm.lib 이 3개를 써주자
적을때 한개 적고 세미콜론 (;) 을 꼭 써주자.
이 모든 과정을 거쳤다면 프로젝트에 DirectX 9 설정은 끝났다.
1) DirectX SDK 설치
1-1) S1203오류 해결
2) SDK Path(경로) 설정
3) 라이브러리 연결
4) 설치가 제대로 됬는지 확인
32비트 (x86)를 선택했기 때문에 프로젝트 에서 저 두번째 칸은 x86으로 바꿔줘야 한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44E6B3E591DA77B36)
자 그러면 이제 제대로 설치가 됬는지 확인해보자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571D83858EB2AC33A)
4-1) 프로젝트 맨 위에서 #include <d9만 쳐도 라이브러리 들이 다음처럼 표시된다. (정상적으로 연결되었다는 뜻)
-> #include <d3d9.h>를 써주자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231203458EB2B3C17)
4-2) 헤더를 include 한뒤에 변수에 IDirect3DDevide9* device = 0; 라고 한번 선언해보자. 사진처럼 정상적으로 떠야한다.
4-3) 컨트롤 + F5를 통해 한번 실행해본다.
이렇게 해도 안될경우 나는 안되서 프로젝트 -> 속성 -> 링커 -> 입력 -> 추가 종속성 -> 편집 -> 부모 또는 프로젝트 기본값에서 상속 으로 변경했다.